본문 바로가기

Course

[교육] 절대영어 - 입문

「절대영어」 - 입문편

「절대영어」 - 영어 사칙(四則)
에 대한 내용

배울 내용

십 수 년 또는 수 십 년을 학습해도 대부분 한국인 영어로 말을 거의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확실한 원인을 알게 되고 이것만 익히면 그 어떠한 우리말도 영어로 자유롭게 말할 수 있다는 「절대영어」 6PA를 연습하면서 영어에 대한 자신감과 자존감이 급격히 향상된다.

한국 영어 학습은 영어 지문을 보고 한글로 해석하는 흐름으로 학습하였는데 이것은 영어를 말이 아닌 이해를 한 것이다. 우리가 영어를 학습하는 목적은 내가 하고 싶은 우리말 문장을 영어로 바로 말하는 것이다. 즉 한글에서 영어로 학습해야 한다. 「절대영어」는 한글에서 영어로 최적화되어있다

수학에서 이것만 하면 셈이 자유롭게 된다는 구구단이 있듯이 그 어떤 우리말 문장이든 영어로 말 할 때 우리 말 서술어에 따라서 영어 문장은 6PA라고 하는 단 6개 패턴으로 정형화되어 있다. 이 6PA를 짧은 시간 반사적으로 나오도록 연습하면 영어로 말하는 자유인이 된다.

모든 쟝르의 학습은 1%의 학(學)과 99% 의 습(習)으로 이루어진다. 피아노, 구구단, 스포츠.... 언어야 말로 정말 99%의 연습으로 트는 것이다. 그런데 한국 에는 이 99%의 습(習) 자체가 없다. 「절대영어」는 철저한 연습으로 진행되기에 짧은 시간에 영어로 말이 된다.

김 양 섭

영어로 자유롭게 말하자

(현)예일종합대학 국제언어대학원장
(명예) 영문학, 국문학, 교육학, 신학 박사
영어 외래교수 및 특임교수


이런 분들에게 추천해요

영어로 말하고 싶은 모든 사람

한국인이 개인적으로 십 수년 또는 수 십 년을 학습하는데 대부분 한국인이 영어로 거의 말을 못한다. 언어란 하루를 학습해도 하루 몫의 영어가 나오는 것이 언어 학습이다. 그럼에도 이렇게 탁월한 한국인이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는가. 그럼에도 그 어느 학자도, 그 어떤 영어 학습 프로그램에서도 이에 대한 명확한 원인을 밝힌 바가 없다. 「절대영어」에서 그 원인과 대안을 명확하게 밝힌다.

수를 다루는 수의 세계를 통해 설명한다. 수의 세계 학문에는 '산수'와 '수학'으로 양분할 수 있다. '산수'란 당연히 '사칙 연산'을 말하는 것이고 '수학'이란 사칙 연산이 튼 후에 연산부터 함수, 방적식, 미적분 등의 고등 수학으로 흐르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산수'와 '수학'이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 있다. 무엇일까? '산수'는 누군가에게 가르치거나 누군가로부터 배우는 것이 아니다. 학습자 스스로 터야 하는 것이다. 즉 셈을 자유롭게 하는 '구구단'을 누가 누구에게 가르칠 수 있는가? 없다. 스스로 터야 하는 것이다. 덧셈도 엄마가 아이한테 연필 3자루에 2자루를 더하면 몇 개지? 하고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지 덧셈, 뺄셈 그리고 구구단도 학습자가 스스로 터야만 하는 것이다.

그런데 학습자가 덧셈 또는 구구단을 스스로 트지 못한 상태에서 아무리 함수 방정식 미적분을 학습한대 해도 그 결과는 없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한국 영어의 현상이다. 영어에 있어서도 학습자 스스로가 반드시 터야 하는, 4가지 규칙이 있다. 이것은 이미 누구나 머리로는 다 아는 하는 것이지만 스스로 트지 못하였기에 수학에서 미적분을 아무리 해도 구구단을 트지 못하였다면 아무런 결실이 없듯이 영어를 수 십 년 아무리 학습해도 구구단처럼 반사적으로 나오도록 터야 하는 것이 있는데, 있는지 조차 몰랐고 그렇기에 트지 못한 상태에서 아무리 영어를 학습해도 영어라는 언어로 말로 나올 수 없는 것이다.

♣ 영어 사칙(四則) - 영어 문장을 말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우리말 서술어에서 다음 4가지 규칙이 '구구단'처럼 반사적으로 나오도록 연습해야 한다.

1. be동사 일반동사 구분하는 연습
2. be(am, are, is, was, were)를 주어와 시제에 따라 반사적으로 선택하는 연습
3. do 와 does, did 외 조동사를 주어와 시제에 따라 반사적으로 선택하는 연습
4. 수학의 구구단 격인 「절대영어」 6PA를 반사적을 나올 때까지 연습

평생 이용권2.5시간 동영상
TV&모바일 엑세스 강의 수료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