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 IT 및 소프트웨어
- 등록일
- 2022.11.09
[네트워크] 에듀윌 화이트해커 악성코드 제작
- 저자명
에듀윌 화이트해커
악성코드 제작
악성코드 제작
랜섬웨어, 트로이목마등 악성코드 제작 기술
백신을 우회하는 기법
악성코드 구현 기법
악성프로그램 차단
에듀윌 화이트해커 강사
2021 Whitehat Contests (화이트햇콘테스트) 문제출제 및 대회운영2020년 서울여자대학교 모의해킹 온라인 강의
2019년 ~ 현재 웹타임CEH(Certified Ethical Hacker), CFI(Certified Forensic Investicator) 강사
2019년 ~ 현재 러닝웨이 코리아 침해대응 모의해킹 네트워크해킹 강사
악성코드 제작
악성코드, Malicious Code(Malware, 악성 소프트웨어)는 "정상적"인 기능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닌, 사용자에게 해악을 끼치는 "악의적" 목적으로 만들어진 모든 코드(Code)의 총칭입니다. 정보통신망법에서는 '악성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구현 방식으로 컴퓨터 바이러스, 트로이목마, 웜이 존재하며, 이와 별개로 실질적 행동에 따라서 따로 이름을 붙이기도 합니다.
요즘은 예전과 달리 점점 악성코드 유포가 보안 절차를 회피하기 위해 여러 수단을 동시에 활용하며, 악성코드 유포 사유가 점점 더 "돈벌이"라는 현실적인 목표로 변하고 있기 때문에 이전에 사용되던 3대 구현 방식만으로 분류하기는 어려워진 상태이며, 아예 랜섬웨어처럼 매우 독보적인 사례도 등장하였기 때문에, 구현 방식에 따른 구분은 요즘은 거의 사라지고 있습니다. 보안 전문가들도 용어를 혼용, 심지어 오남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악성코드를 진짜 제대로 악성코드라는 원칙적 이름으로 불러주는 나라는 악성코드 등장 초기 부터 정부 정책 수준으로 악성코드라는 이름을 못박아둔 한국 말고는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이 때문에 보안 업계에서 비속어급 용어 사용이 일어나 비판받기도 합니다. 정부 차원에서 사이버 전쟁을 위해 악성코드를 제작해 상대방 국가의 주요 기관이나 시설을 공격하는 행태도 있습니다.
악성코드 제작의 원리와 백신의 구성 및 우회하는 방법을 배워보도록 합시다
주의사항을 확인해주세요
해당 강의를 학습한 뒤 실제 서비스 중인 서비스를 해킹하는 것은 범죄 행위입니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 48조를 위반하여 정보통신망에 침입하거나 장애를 발생하게 한 자는 같은 법 제71조(벌칙)에 의하여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강의를 학습하고 악의적으로 타인의 정보를 침해하거나 실제 사이버 범죄에 이용하실 경우 에듀윌에서는 어떠한 법적 책임이 없음을 고지합니다.
김주영 강사소개
약력
2021 Whitehat Contests (화이트햇콘테스트) 문제출제 및 대회운영
2020년 서울여자대학교 모의해킹 온라인 강의
2019년 ~ 현재 웹타임CEH(Certified Ethical Hacker), CFI(Certified Forensic Investicator) 강사
2019년 ~ 현재 러닝웨이 코리아 침해대응 모의해킹 네트워크해킹 강사
2018 ~2019년 CTF 년 년 서울여자대학교 해킹방어대회 문제출제 및 대회운영
2018 ~2019년 대한민국 해군 CERT 팀 강사 (모의해킹, IoT 해킹 강의)
2018년 KITRI 주체 해킹대회 사이버가디언즈 리그 운영
2018년 ~ 현재 KITRI 주체 사이버가디언즈 교육 강사
2018년 ~ 현재 KISEC 임베디드 및 공격 강의
2017 ~2019년 융합보안지원센터 네트워크 시스템 모의해킹 강사
2017년 Whitehat Contests(화이트햇콘테스트) 문제출제 및 대회운영
2017 ~2021년 CODEGATE 국제 해킹대회 문제출제 및 대회운영
2017년 ~ 현재 서울금천경찰서 사이버수사대 수사공조 자문위원
2017 ~2019년 대한민국 국방부 사이버사령부 모의해킹, IoT 해킹 강사
MICROSOFTWARE(마이크로 소프트웨어) 기술기고
YOUTUBE 유튜브 '커버로스' 해킹 방송 및 강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