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데미 인사이트

실리콘밸리에서 날아온 커리어 성장 꿀Tip

실리콘밸리 디렉터 님이 답변을 보냈어요 💌

지난 2월 2일, 줌 라이브로 커리어 밀착토크 행사를 진행했는데요. 많은 분이 보내주신 커리어 고민, 사연에 정김경숙 님이 정성껏 답변을 해주셨어요! 이날 참여는 못 했더라도, 비슷한 고민을 갖고 계신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50살의 나이에 실리콘밸리로 건너가 커리어를 넓힌 인생 선배의 경험과 노하우!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





👍회사 말고 나만의 경쟁력?


Q. 대기업에 근무하는 주변 지인들을 보면 회사의 타이틀을 제외한 나만의 브랜드, 경쟁력에 대해서 고민하는 경우가 많아 보입니다. 혹시 비슷한 고민을 하셨던 경험이 있으셨을까요?


A. 저도 일하는 내내 늘 경쟁력에 대해 고민했었습니다. 그 결과가 아마도 다섯 번의 대학원을 가게 된 것이지 않을까 합니다. 라이브 세션에서도 얘기했지만,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에서 최고가 되려고 최선을 다하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그 순간들과 결과가 모아졌을 때 ‘나만의 브랜드’가 만들어지게 된답니다. 다만, 경쟁력을 쌓는다고 했을 때 ‘스펙’ 차원으로만 접근하는 것은 지양하는 게 좋아요. 실질적으로 나의 능력치를 올릴 수 있는 것을 찾아가는 게 중요해요. 온라인 강의, 영어 학습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나만의 경쟁력을 찾아보세요.




🔄직무 전환


Q. 저는 개발자 내에서 직무를 바꾸고 싶은데요. 이미 클라이언트 개발로 경력이 6년 정도 쌓인 상황입니다. 다른 직무로 바꾸려면 다시 신입 레벨로 지원해야 하고, 연봉도 많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래도 직무는 꼭 바꿔보고 싶은 상황입니다. 직무를 바꾸고 나서, 이런 차이를 빠르게 극복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A. 제가 개발자 직무 경험은 전혀 없어서 답변 드리기가 어렵네요. 그래도 그동안 경험한 것을 토대로 답변을 드릴게요. 우리는 앞으로 10년, 20년 회사 생활을 해야 하므로, 원하는 직무로 바꿀 때 직급, 연봉이 낮아지는 것에 너무 연연하지 않아도 돼요. 당장 직무를 바꿀 때는 직급도, 연봉도 낮아지긴 할텐데요. 그 이후에 내가 좋아하는 일을 잘하게 되면, 인정받는 순간이 빠르게 찾아올 거예요. 이런 분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고 진급하는 경우를 많이 목격했습니다. 충분히 잘하실 수 있습니다!



💪50대 커리어 역량


Q. 50대 이후에도 시장에서 가치 있는 커리어를 이어가는 데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역량은 어떤 것일까요?

A. 첫 번째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이 몸 담고 있는 분야의 지식과 경험치라고 생각해요. 자신이 몸담고 있는 분야의 디테일한 스킬도 계속 업데이트해가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두 번째는 함께 성장하는 그룹에 속해 있는 것 입니다. 이러한 성장 그룹은 50대 이후, 보통 임원의 위치에 갔을 때도 정신적으로나 업무적으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세 번째는 나, 가족, 우리 회사만 생각하지 않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기여할 수 있는 것까지 고려해보는 겁니다. 자신의 가치관을 생각하고, 그 가치관을 리더십에 녹여낸다면 금상첨화라고 생각해요. 이 세 가지를 갖춘다면, 팀원들이 마음으로 믿고 따를 수 있는 리더가 될 수 있을 거예요.



👩‍🎓영어학습 꿀팁


Q. 영어 공부하실 때, 어떤 플랫폼으로 어떤 종류의 팟캐스트를 들으시나요?

A. 저는 주로 미국에서 영어 공부를 위해 팟캐스트를 즐겨 듣고 있는데요. Google podcast website 가면 다양한 주제의 영어 팟캐스트를 찾아서 볼 수 있어요. 팟캐스트를 하나 선정해서 들을 때는, 내용도 중요하고 형식(뉴스 형식, 인터뷰 형식, 나레이션 형식 등)도 살펴보세요. 어떤 것이 좋을지 한 두 개 샘플을 들어보고, 귀에 쏙쏙 들어오는 것을 정하세요. 무엇보다 꾸준히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제가 자주 듣는 팟캐스트 리스트를 첨부할게요.

📌정김경숙 님이 자주 듣는 팟캐스트 리스트

✔ PBS News Hour
✔ NPR News Now
✔ TED Radio Hour
✔ TED Talks Daily
✔ IdeaCast
✔ Vergecast (IT 관련)
✔ PIVOT (IT 관련)



🐥주니어 마케터의 고민


Q. B2B 회사 3년차 주니어 마케터입니다! B2B마케팅 업무를 하면서 어려움을 참 많이 겪었는데요. 회사가 마케팅의 중요성을 인지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브랜딩 체계가 아직은 부족합니다. 그러다 보니 B2B 회사에서 B2C 회사로 이직하고 싶은데 제 포트폴리오가 너무 걱정됩니다. 다른 B2C 회사의 중고 신입 입사까지 고려하고 있는데 이런 저에게 해주실 조언이 있으실까요?


A. 저도 늘 B2B 마케팅보다는 B2C 마케팅이 훨씬 재밌었고 적성에도 맞았던 기억이 있어서, 개인적으로 공감 가는 질문이네요. B2C 회사로 무작정 옮기기 전에, 현재 B2B 회사에서 경험을 쌓는 것도 아주 중요한 부분이에요. 의외로 업계에 B2B 마케팅을 경험한 사람들이 소수이므로, 나중에는 그 경험이 자신만의 차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답니다.

그런데도 B2C로 가고자 하신다면, B2B에서 경험한 업무 중 B2C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지 먼저 생각해보세요. 사실 B2C, B2B 상관없이 소비자를 설득하는 메시지를 개발하고, 어떻게 전달하는가 하는 ‘스토리텔링 방법’은 연결되어 있으니까요.

현재 근무하고 있는 회사에 얼마나 계실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만약 그 상황이라면 현재 회사에서 경험 쌓는 것을 최대한 뽑는 것을 목표로 잡을 것 같아요. 회사 내부에서 마케팅 밸류를 알리고 브랜딩 체계를 세우면서, 초창기 마케팅에 일조하는 것. 마케터로서 아주 중요한 경험이라고 보거든요. 물론 맘고생도 따라 오겠지만요. 그만큼 나중에 큰 자산으로 돌아온 답니다.



🌍실리콘밸리 도전 가능?


Q. 한국에서 7년간 PM으로 일을 했는데, 미국으로 넘어가서 일하고 싶습니다. 해외 경험이 부족한 상황에서 어떤 것부터 준비하는 것이 좋을까요?

A. 저도 해외 경험이 4년 정도밖에 안 되어서, 제 경험으로 일반화하기는 힘들 것 같아요. 해외 경험이 부족할 때 미국에 오는 것을 준비하실 때, 저라면 이렇게 임할 것 같아요! 
가장 먼저, 영어를 정말 진지하게 준비하셔야 합니다. 미국에서 PM은 여러 부서와의 밀당을 정말 잘해야 하는 커뮤니케이션의 달인들이 모인 집단이에요. 그만큼 영어 실력을 갖추기 위해 사력을 다해 준비하셔야 합니다.

둘째, 지속적으로 링크드인 등 구직 사이트에서 직무 기술(job description)을 살펴보세요.
채용 공고를 찾아보고, 어떤 사람을 원하는지 미리 체크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그에 맞게 포트폴리오와 경험과 스토리텔링을 만드는 게 중요해요.

셋째, 링크드인에서 미국 내 비슷한 직무로 일하는 분을 찾아서, 콜드 콜 (cold call : 서로 모르는 상태에서 연락하는 것)을 시도해보세요. 아마 십중팔구는 답을 안 할지도 몰라요. 그래도 이렇게 연결을 시도하는 경험이 중요합니다. 만약 연결된다면 커피챗을 요청하시고 궁금한 것들을 다 물어보세요. 지금의 절박함과 절실한 마음으로 시도하신다면, 하나라도 더 물어보는 사람에게 답이 찾아오기 마련이니까요!


잘 보셨나요? 라이브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여러분의 커리어 성장을 위한 콘텐츠로 찾아뵙겠습니다🥰

💡 잠깐, 유데미 강사님과 소중한 소통 기회, 놓치지 않는 법.tip

카카오톡 알림과 유데미레터로 최신 라이브세션 & 멘토링 정보를 보내드려요. 
👉유데미 큐레이션 회원가입하기
(수신동의 ON은 센스!) 

개발자 성장을 위한 멘토링, 소통공간은 여기에! 
👉디스코드 커뮤니티 바로가기


😎실리콘밸리 디렉터의 커리어 확장법!



이 아티클을 더 읽고 싶으신가요?

유데미 큐레이션에 무료 가입하고
유익한 콘텐츠들을 무제한 이용하세요.

최신 인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