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지사항

[강사 노하우] 12일 만에 끝낸 온라인 강의 준비 노하우ㅣ디논 강사

안녕하세요! 강사님들의 커리어 성장을 돕는 콘텐츠 매니저 미셸입니다.🥳 

지난 1편에서 글쓰기로 시작해 강사 데뷔까지 하신 디논 강사님의 이야기를 소개해드렸는데요, 과연 내가 알고 있는 내용을 어떻게 하면 글로 잘 정리해서 온라인 강의로까지 만들 수 있을까요? 디논 님의 노하우, 지금 공개합니다!

디논 / UI/UX 디자이너

👨‍💻  디논 / UI/UX 디자이너

-현 UI/UX 디자인 연구원 (석사과정)
-세부 연구 분야 : UI/UX디자이너와 Generative AI의 협업 프로세스 
-요즘 IT (디자인 분야) 아티클 작가
- 브런치 계정 '디논' 운영
- 넘블 디자인 챌린지 멘토

➡️Udemy 프로필 바로가기

➡️ Udemy 강의


🙋‍♀️미셸
처음 ChatGPT가 나오고 굉장히 빠르게 강의가 나왔어요! 기획~제작까지 얼마나 걸리신 거에요?

👨‍💻디논 님

처음 커리큘럼을 짜는 것부터 원고 작성, 강의 자료 제작 그리고 촬영까지 딱 12일 걸렸더라구요.

🙋‍♀️미셸

12일이요?! 우와 정말 빠르게 준비하셨네요! 어떻게 그렇게 빠르게 준비하실 수 있었나요?


강의 연습 중인 디논 강사님

👨‍💻디논 님

특별한 비결이라기 보다는, 그냥 그 기간 동안에는 밥 먹고 그것만 했어요.ㅎㅎ 물론 학교 수업 듣고 과제하고 그런 시간도 빼야겠지만, 9일 동안은 계속 원고 수정하고 연습하고 그거대로 자료 만들고 그 작업들만 했어요. 오죽하면 강의 촬영 전부터 이미 목이 나가있었을 정도였어요.

주말은 정말 하루 종일 이것만 했고, 평일에는 학교에 가야 하다 보니 한 2~3시간 정도 한 것 같아요. 과정을 기록해뒀는데요, 잠시만요.


🗓️디논 강사님의 강의 준비 소요 기간


강의 준비 타임라인을 기록해둔 모습

적어둔 걸 보니, 2월 26~27일 이틀 동안 커리큘럼 기획하고, 3월 1~4일까지 4일 간 원고 작성, 5~7일에 강의 자료 초안 제작, 8~9일에 추가 자료 및 원고 수정 그리고 10일에 강의 촬영 들어갔어요.

🙋‍♀️미셸

저도 많은 강사님들과 함께 강의를 만들어 봤지만 이렇게 세부 단계별로 기간을 정리해본 적은 없는 것 같아요. 이렇게 들으니 강의 준비하는 일정이 좀 더 구체적으로 머릿속에 그려지네요!

👨‍💻디논 님

네 ㅎㅎ 그리고 온라인에 있는 멘토들을 정말 많이 활용했어요. 이렇게 제대로 커리큘럼 짜고 강의를 구성해본 건 처음이었는데, 온라인에 저 같은 초보 강사를 위한 글이나 영상 등의 콘텐츠가 정말 많더라고요. 그렇게 멘토들이 올려주신 콘텐츠를 보고 배우면서 준비를 했었습니다.

🙋‍♀️미셸

‘온라인 멘토’라고 하면 어떤 분들인가요? 추천해주실 만한 분 계실까요?

👨‍💻디논 님

유튜브나 블로그 등에서 좋은 정보를 주시는 분들을 저는 ‘멘토’라고 부르고 있어요. ‘나를 도와주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면서요.ㅎㅎ

SNS에 강의 커리큘럼 짜는 법을 시리즈 글로 연재하시는 분도 계시고, 유튜브에 말하는 방식에 대한 스피치 영상도 정말 많아요!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무궁무진 했어요. 저는 뭔가를 새로 배울 때 온라인 콘텐츠를 많이 활용해요. 실제로 디자인 공부도 다 이런 방식으로 독학했어요.

추천하고 싶은 분은 ‘초보 강사를 위한 실전 강의 설계’라는 제목으로 브런치북을 연재하는 분이 계세요. 총 16편의 글인데 강의 준비하면서 정말 도움을 많이 받았어요.

👉추천 글 보러가기

유튜브에서는 한 명만 꼽을 수는 없고, ‘강의 하는 법’ 검색해서 나오는 걸 거의 다 봤어요. 어떤 말투로 해야 하는지, 발성 법, 보이스 톤 잡는 것까지 다 알려주더라고요!

특히 진짜 많이 도움 받았던 게, 저는 꼭 발표만 하면 ‘다나까’ 체를 쓰게 되더라고요. 저 스스로도 딱딱해지는 게 느껴져요. 그런데 영상을 보니까 말 잘 하는 강사님들은 전부 다 ‘요죠’ 체를 쓰시더라고요! 이걸 보면서 정말 큰 깨달음을 얻고 강의 원고를 싹 다 수정했어요.ㅎㅎ 그러니까 정말 훨씬 자연스러워지더라고요.

🙋‍♀️미셸

맞아요! 강의나 발표, 세미나 이런 거 하면 꼭 ‘다나까’ 체가 나오더라고요 ㅋㅋ

👨‍💻디논 님

그쵸 ㅎㅎ 격식 차려야 한다고 생각하니까 그런 말투가 나오는 것 같아요. 목소리도 딱딱해지고요. 그런데 앉아서 말할 때나 누워서 말할 때, 일어서서 말할 때 다 똑같은 투로 말하는 게 정말 말 잘하는 사람이라고 하더라고요! 편안하게 말하는 게 훨씬 듣는 사람 입장에서도 여유롭고 듣기 좋다고요. 정말 꿀팁이었어요!

🙋‍♀️미셸

저도 온라인에서 좋은 정보를 많이 찾는 편인데, ‘온라인 멘토’라고 생각해보지는 못했던 것 같아요. 그런데 디논 님처럼 그 분들 모두가 제 ‘멘토’ 라고 생각하고 들으면 훨씬 더 귀에 쏙쏙 들어올 것 같네요!

아까 답변 주셨던 것 중에 과정들을 ‘기록’해두셨다고 하셨어요. 평소에도 기록을 많이 하시나요?

👨‍💻디논 님

네, 나중에 글로 쓸 수도 있으니까 그때그때 기록을 해두는 편이에요. 이번 강의도 맨 처음 ChatGPT와 미드저니로 UI/UX 리디자인 하는 작업을 할 때 중간 중간 기록을 남겨뒀었어요.그 덕에 그 기록을 토대로 글을 작성하고, 여기에 서론과 결론만 추가한 거라 더 빠르게 완성할 수 있었어요.

🙋‍♀️미셸

강의 소재나 글감도 그때 그때 기록해두면 정말 도움 되겠어요! 또 공유해주실만한 팁 있을까요?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을 정리할 때 활용하면 좋을 노하우 같은 거요!

👨‍💻디논 님

일단 큰 구조를 잘 잡으시는 게 중요해요. 저는 글 쓰기를 좋아해서 초등학교 때부터 일기를 써왔다고 말씀 드렸잖아요, 그런데도 정보성 글을 처음 쓰려고 했을 때 되게 당황스러웠어요. ‘온라인’이라는 공개적인 장소에 정리된 글을 쓰는 건 아예 다른 종류더라고요. 분명 써오던 글인데 어떻게 써야 할지 막막하더라고요.

그래서 글 구조 잡는 것부터 시간을 많이 들였어요. 어떤 메시지를 전할지, 어떻게 서두를 열지, 본론에 어떤 말을 할지 등 정리하는 단계를 추가했죠.

저는 보통 5일 정도를 잡고 계획해요. 첫 날은 어떤 글을 쓸지 주제를 탐색합니다. 둘째 날은 제가 알고 있는 내용에서 추가로 리서치를 더 해서 이를 토대로 개념 정리를 먼저 하고요. 3일차에는 이 개념을 적용시킬 수 있는 사례 조사를 합니다. 저의 경우 UI/UX를 연구하다보니 주로 제가 사용하는 서비스 중에서 적절한 케이스를 고르고 있어요.

4일차에 글 구조를 짜면서 ‘서두에는 이 사례를 써야겠네’, ‘개념 설명은 이쯤 들어가야겠다’, ‘이 사례는 어디에 들어가는게 좋겠네’ 하면서 큰 순서를 정해요. 이렇게 큰 틀과 핵심 내용이 정리되면 5일차에 글을 쓰는데요, 앞 단에 정리만 잘 되어 있으면 실제 글 쓰는 건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아요. 한 3~5시간 정도 걸리는 것 같아요.

✍️ 디논 강사님의 정보성 글쓰기 STEP 5

🙋‍♀️미셸

실제로 글을 쓰는 것보다 그 앞에 구조를 짜는 등의 준비 단계에 시간이 훨씬 많이 드네요! 주제 탐색, 자료 조사 등이 필요한 건 알았지만 실제로 시간도 훨씬 오래 잡는다는 게 흥미로워요. 저도 종종 글을 쓰는데 저는 일단 그냥 쓰기 시작하거든요…ㅎㅎ

혹시 주제 탐색이나 자료 조사하실 때 좀 더 신경 쓰시는 부분이 있나요?

👨‍💻디논 님

현재 트렌드를 내 분야에 결합시키려 노력해요. 이번 Udemy 강의 주제이자, 올리자마자 반응이 좋았던 글(ChatGPT와 미드저니로 UI/UX 리디자인하기)도 ChatGPT가 나온 시기와 딱 맞물리면서 좋은 결과를 냈다고 생각해요.

사실 저는 ChatGPT 이전에도 UI/UX와 생성형 AI 글을 써왔어요. 그런데 ChatGPT가 나왔을 때 제가 쓰는 주제와 연결지어 글을 쓰지 않았다면 이렇게 강의를 내거나 좋은 제안들을 받지 못했을 거에요.

트렌드를 계속 추적하면서 어떻게 내 분야에 잘 녹여낼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어떤 트렌드든, 내 분야를 잘 알고 있다면 결합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미셸

트렌드와 내 분야를 잘 결합해야 한다는 말씀 너무 공감됩니다!

일자 별 강의 준비 단계부터 정보성 글쓰기 Tip과 주제 정할 때 고려해야할 점까지 알찬 내용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디논 님

네! 감사합니다.

유데미 강사가 되는 문은 언제나 열려있습니다!  나의 전문성을 다른 사람과 나누고 싶다면 Udemy 강사되기 챌린지에 도전해보세요!

✳️ Udemy 강사되기 챌린지 


디논 강사님과 zoom에서 직접 이야기 나누고 싶으신 분들은 5월 18일(목) 오후 8시 Udemy 강사 살롱에 참여해주세요🤗


✳️ Udemy 강사 살롱은 강사님 간 양질의 정보 공유 및 네트워킹 구축을 위한 zoom 온라인 월간 모임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Udemy 강사 살롱 신청하기’ 배너를 클릭해주세요.